반응형
SMALL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경찰의 발표와는 달리,

고문에 의한 사망이라는 부겸 결과가 나오고,

그것을 숨기려는 경찰들과, 이를 밝히려는 사람들 간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1987!


영화 1987의 배경(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영화 1987에서 나온 고문을 받다 사망한 22살 대학생은 바로

서울대학교 재학 중인 '박종철'학생입니다.

'반제 반파쇼민족민주투쟁위원회에 참여하여 시위를 하던 박종운을 잡고자

박종철을 같은 공범으로 보고 대공분실로 끌고 가 고문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그 고문 과정에서 폭행, 전기고문, 물고문으로 인하여 사망하였고,

경찰은 이를 은폐하기 위해 책상을 치니 쇼크사로 사망했다는 발표를 합니다.

하지만, 기자들의 언론보도와 부검의의 증언으로 고문에 의한 사망이라는 것이

밝혀지고, 그제야 사실을 시인하게 됩니다.

이 사건이 시발점이 되어 1987년 6월 항쟁이 일어나기도 하죠.

특히 5.18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연세대 학생이었던 '이한열'

머리에 최루탄 파편을 맞고 쓰러지는 사건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산발적으로 전개되던 항쟁이, 범국민적 항쟁으로 변모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이 영화 1987에서도 이한열 역을 맡은 강동원 배우

이한열 역할을 정말 잘 소화한 것 같습니다.

강동원이 거기서 왜 나와?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무도 강동원이 나올 줄 몰랐습니다.

그리고 이한열 역할을 맡아 시위를 이끌어 나가는 강동원의 모습에

여성팬들의 환호가 일어났었죠.



남영동 대공분실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71 37에 위치한 남영동 대공분실은

좁은 창문 덕분에 밖에서 안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왜!? 안을 제대로 볼수 없게 만들었을까요?

그것은 바로 그 안에서 무자비한 고문과 취조가 자행되던 공간이기 때문이죠.

이곳에서 서울대 학생 '박종철'이 박종운을 숨겨두었다는 죄목으로

대공분실로 끌려가 고문을 받다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또 이곳에서 고문을 받은 사람 중 유명한 사람인,

민주화운동 청년연합의 의장이었던 '김근태'도 이곳 대공분실에서

고문기술자 '이근안'에게 고문을 당한 걸로 유명하죠.

2012년 개봉한 영화 <남영동 1985>가 김근태가 이곳에서 있었던 일을

다룬 영화이니, 한 번쯤 참고하시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여러분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라는 문구를 들어보셨나요?

이 문구는 바로 5.18 민주화 운동에서 전두환 정권을 몰아내기 위해

시위하는 사람들이 내건 문구입니다.

전두환 정권은 선거단에서 직접 대통령을 뽑는 간접선거제를 실시하였습니다

이 간접선거제는 한마디로 말해서 전두환 대통령이 계속 대통령을 연임하겠다는

뜻과 마찬가지입니다.

전두환 정권의 연임을 바라지 않았던 사람들은,

호헌철폐! 독재 타도!라는 문구를 내걸고 시위를 하였습니다.

특히 5.18일에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이 폭로됨으로써

더더욱 5.18 민주화 운동에 불이 붙기 시작했죠

학생뿐 아니라, 교수, 직장인들까지도 시위를 참여하여 전국적으로

민주화 운동이 전개되자, 전두환 정권은 6.29 민주화 선언을 하였습니다

4.13 호헌조치는 철회되고, 국민투표로 대통령을 뽑는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좋았다.. 그리고 완벽했다..

영화 1987은 그 시대상을 정말 잘 반영한 영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소한 것 하나하나까지도 신경 쓴 게 보이는 게

슈퍼의 모습까지도 옛날 87년도에 볼 수 있을법한 모습까지

완벽하게 재연해 두었습니다.

그리고 특히 이한열(강동원)이 갑툭튀를 하였을 때!

모든 여성들이 놀라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어찌나 이한열과 강동원이 싱크로율이 맞는지..

마지막에 최루탄에 맞고 쓰러지는 장면까지도

실제 이한열이 환생했다면 저런 모습이 아니었을까?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쓰러지는 각도까지도 하나하나 계산해서 사진과 똑같이 재연했다는 게..

비판을 할 수가 없는 영화입니다.

우리 힘으로 이뤄낸 민주화이기에..

많은 희생이 있었던 민주화이기에..

우리는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가 이렇게 민주화 사회에서 살 수 있었던 것도

우리 선조들의 목숨을 걸은 희생 때문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반응형
LIST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